본문 바로가기
심리학

“인간은 선과 악을 모두 지녔다? 성선악혼설과 현대 심리학”

by 심리학. 2025. 3. 26.

어떤 날은 타인을 돕고도 뿌듯하다.


그러나 어떤 날은 사소한 일에도 분노하고, 남을 밀쳐낸다.

 

“나는 과연 선한 사람일까, 아니면 악한 사람일까?”

혹은… 둘 다일까?

성선악혼설(性善惡混說)은 인간은 본래 선과 악의 두 본성을 모두 지닌 존재라고 보는 관점입니다.


이 이론은 **이분법적 인간 이해(성선설 vs 성악설)**를 넘어서,보다 복합적이고 현실에 가까운 인간관을 제시합니다.

 

고대 철학에서도 그 흔적이 있지만,현대 심리학은 이 관점을 실험적, 신경과학적, 진화적 측면에서 보다 정교하게 해석하고 있습니다.

성악설,성선설,성무성악설,성선악혼설,철학,심리학,서양,동양,종교


목차

1. 성선악혼설이란 무엇인가?
2. 철학에서의 혼합설: 동서양의 관점
3. 심리학은 인간의 이중성을 어떻게 이해하는가?
4. 선과 악, 공존을 보여준 대표 심리 실험들
5. 인간은 언제 선해지고, 언제 악해지는가?
6. 통합 심리학 관점: 성격과 상황의 상호작용


1. 성선악혼설이란 무엇인가?

성선악혼설은 인간이 선한 본성과 악한 본성을 동시에 내재하고 있으며, 어떤 본성이 드러날지는 상황과 선택에 달려 있다는 주장을 담고 있습니다.

 

이 관점은 인간을 선하거나 악한 존재로 단정 짓기보다, 다층적이고 유동적인 존재로 이해하려는 시도입니다.


2. 철학에서의 혼합설: 동서양의 관점

성선악혼설은 단지 현대 심리학의 시각이 아닙니다.


인간이 선과 악의 잠재성을 동시에 지닌 존재라는 생각은 동서양의 철학자들에게서도 광범위하게 발견됩니다.


이 장에서는 동양과 서양의 고전 철학에서 어떻게 인간의 이중적 본성을 이해했는지를 살펴봅니다.


2-1. 동양 철학의 혼합설

정이(程頤), 정호(程顥) – 이기론(理氣論)

  • 이들은 성리학적 인간관에서 “리는 선하지만 기는 선하지 않다”는 주장을 전개
  • 리(理)’는 우주의 본질이자 선한 본성이고,
    기(氣)’는 인간의 욕망과 감정 등 현실적 요소로, 선과 악의 가능성을 모두 내포

“기질지성(氣質之性)은 선하지 않을 수 있다.”

해석: 인간은 선한 본성을 지녔지만, 현실의 감정과 환경은 그 본성을 흐릴 수 있음 → 혼합설적 구조


이황(李滉) – 성즉리설

  • 인간의 본성은 원래 선하나, 기질이 탁하면 악해질 수 있다
  • 따라서 ‘성선설+성악의 발현 가능성’을 함께 인정

“성은 리요, 기질은 천하고 탁할 수 있다. 인심은 선하지 않으면 악하게 된다.”

시사점: 선과 악은 이원 대립이 아니라, 인간 내면에서 늘 경쟁 중인 요소


불교 – 선과 악의 공존, 업(業)의 중립성

  • 인간은 과거의 업(karma)에 따라 선한 경향성 또는 악한 경향성을 가질 수 있음
  • 하지만 그 누구도 본질적으로 완전히 선하거나 악한 존재는 아님
  • 수행을 통해 악을 다스리고 선을 확장할 수 있다는 ‘변화 가능성’을 강조

핵심: 인간 본성은 고정되지 않으며, 선·악 모두를 지닌 유동적 존재


2-2. 서양 철학의 혼합설

플라톤 – 영혼의 삼분 구조

  • 인간의 영혼은 이성(logos), 기개(thymos), 욕망(epithymia)으로 구성됨
  • 이성이 주도하면 선한 삶을 살 수 있으나, 욕망이 지배하면 비이성적이고 파괴적인 행동을 하게 됨

결론: 인간은 내면에 선과 악의 양면을 모두 지니며,
어떤 요소가 지배하느냐에 따라 삶의 방향이 결정


아우구스티누스 – 원죄와 은총

  • 인간은 원죄(原罪)를 통해 악의 가능성을 지닌 채 태어났지만, 신의 은총과 자유의지를 통해 선한 삶으로 전환할 수 있음
  • “인간은 타락했으나, 회복될 수 있는 존재다.”

해석: 인간은 악의 성향을 내재하지만, 의지와 신념을 통해 선으로 나아갈 수 있음


토마스 홉스 vs 존 로크 (정치철학에서의 혼합 관점)

  • 홉스: 인간은 이기적이고 폭력적인 상태로 태어난다 → 성악설
  • 로크: 인간은 백지 상태로 태어난다 → 성무성악설
  • 루소(Rousseau): 인간은 본래 선하나, 사회가 그를 타락시킨다

그러나 이들 모두 환경, 사회, 제도에 따라 인간의 선악이 달라질 수 있음을 인정
선·악 모두의 가능성을 이론 내에 포함하고 있음


종합 해석

사상가 철학 핵심 주장 성선악혼설과의 관계
정호·정이 리는 선하나 기는 악할 수 있음 선과 악의 공존 구조
이황 선한 본성 + 기질의 왜곡 가능성 선·악 이중성 인정
불교 업에 따라 선·악의 경향성 존재 유동적 성향 인정
플라톤 이성과 욕망의 투쟁 선악은 내부 경쟁
아우구스티누스 원죄 + 구원의 가능성 악과 선의 잠재성 공존
루소 선한 본성 + 사회의 타락 작용 선·악은 조건에 달림

결론 메시지

동서양 철학 모두에서 인간은 단일한 본성을 가진 존재가 아니라,선과 악, 욕망과 이성, 본성과 환경이 뒤얽힌 존재로 이해되어 왔습니다.


이러한 철학적 혼합설은 현대 심리학이 말하는

 

“인간은 다면적이며, 조건에 따라 얼마든지 선하거나 악해질 수 있다”

는 통합적 인간관의 철학적 뿌리라고 할 수 있습니다.


천사,악마,악함,선함,기질,동기,신념,유전,dna,본성,본능

3. 심리학은 인간의 이중성을 어떻게 이해하는가?

현대 심리학은 인간을 “선하거나 악한 존재”로 단정 짓지 않습니다.

 

대신, 상황과 내적 요인(기질, 동기, 신념)이 상호작용하여

 

어떤 본성이 발현되는지를 설명하려 합니다.

대표 개념들:

  • 상황주의(situationism): 도덕성은 상황에 따라 크게 좌우됨
  • 성격 5요인 이론: 어느 누구도 100% 친절하거나, 100% 공격적이지 않음
  • 진화심리학: 협동과 공격, 모두 생존 전략으로 진화해온 본능

결론: 인간은 선과 악의 모두를 내포한 잠재적 존재


선과 악,스탠포드 감옥 실험,유아기 공감 실험,밀그램의 복종 실험,트롤리 딜레마 실험

4. 선과 악, 공존을 보여준 대표 심리 실험들

인간은 본래 선하거나 악하다고 단정 지을 수 없습니다.


현대 심리학은 수많은 실험을 통해 인간이 선과 악의 본성을 모두 지니고 있으며,상황, 조건, 동기에 따라 그것이 서로 다른 방식으로 발현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다음은 그 대표적인 실험들입니다.


4-1. 스탠포드 감옥 실험 (Philip Zimbardo, 1971)

실험 구조:

  • 대학생 자원자 24명을 무작위로 '교도관'과 '수감자' 역할로 나눔
  • 실험실 내부를 모의 감옥으로 세팅하고, 2주 동안 관찰 예정
  • 단, 실험은 단 6일 만에 중단됨

주요 결과:

  • 교도관 역할을 맡은 참가자들이 점점 권위적이고 폭력적으로 변함
  • 수감자 역할을 맡은 학생들은 심리적 무기력, 복종, 탈인격화 현상을 보임

심리학적 해석:

  • 평범한 사람도 역할과 권위 구조만 주어지면 폭력적으로 변할 수 있음
  • 선한 성향의 개인조차도, 악한 시스템에 놓이면 악의 행위를 학습하거나 방관

성선악혼설과의 연결:

→ 인간은 악의 가능성을 내면에 지니고 있으며, 특정 조건(권력, 역할, 책임 분산)에 따라 그 악이 쉽게 드러날 수 있음
→ 단순한 성악설이 아닌, 상황적 악의 발현 가능성을 강조


4-2. 유아기 공감 실험 (Yale Baby Lab, Hamlin et al., 2007~)

실험 구조:

  • 생후 6~12개월 아기에게 도우미 인형 vs 방해자 인형을 보여줌
  • 이후 두 인형을 동시에 제시하고, 아기가 어느 쪽을 선호하는지 관찰

결과:

  • 대다수 아기들이 도우미 인형을 선택
  • 이후의 실험에선 공정한 분배자 vs 불공정한 분배자 실험도 유사한 결과 도출

해석:

  • 언어와 교육 이전 단계에서도 기초적인 도덕 감정(공감, 공정성)을 구분하고 선호
  • 인간은 선한 감정과 타인을 향한 연민을 선천적으로 타고날 수 있음

성선악혼설과의 연결:

→ 인간은 선의 본성 또한 내재되어 있음
→ 공감, 배려, 공정성을 선호하는 본성이 생득적으로 존재하며, 이는 성선설적 요소와 일치


4-3. 밀그램의 복종 실험 (Stanley Milgram, 1961)

실험 구조:

  • 참가자는 실험자가 시키는 대로, 피실험자(실제로는 배우자)에게 전기 충격을 가하는 역할을 맡음
  • 충격 강도는 최대 450V까지 단계적으로 증가
  • 배우자는 고통스러운 비명을 질렀지만, 실험자는 “계속하세요”라고 지시

결과:

  • 참가자의 65%가 최대 전압까지 충격을 가함
  • 도덕적 양심보다 권위자의 명령에 복종하는 경향이 강하게 나타남

해석:

  • 인간은 악의 본성이 있어서가 아니라, 권위에 대한 복종 성향 때문에 도덕적 판단을 유보
  • 즉, 악한 행동은 상황과 구조에 의해 유도될 수 있음

성선악혼설과의 연결:

→ 선한 감정이 있다고 해도, 외부 권위나 구조에 따라 악한 행동을 하게 되는 잠재성도 동시에 존재
→ 선과 악은 본성의 문제만이 아닌, 조건에 따라 드러나는 양면성

4-4. 트롤리 딜레마 실험 (Moral Dilemma Studies)

실험 구조:

  • 시나리오 ①: 트롤리를 막지 않으면 5명이 죽고, 막으면 1명이 죽음 → 대부분 막는다
  • 시나리오 ②: 다리 위의 한 사람을 밀어 떨어뜨려 트롤리를 멈출 수 있음 → 대부분 못 밀음

결과:

  • 동일한 결과(1명 희생, 5명 생존)임에도,
    접촉 여부, 책임 직접성, 감정 개입 여부에 따라 도덕 판단이 달라짐

해석:

  • 인간의 도덕 판단은 논리보다 감정, 맥락, 상황에 크게 영향을 받음
  • 선한 선택도 절대적 기준이 아닌 상대적 조건에서 움직임

성선악혼설과의 연결:

→ 선한 판단조차 조건에 따라 다르게 표현됨
→ 인간은 선과 악 사이에서 늘 갈등하고, 선택하며, 흔들리는 존재


결론 메시지

이 네 가지 실험은 성선설이나 성악설만으로는 설명되지 않는 복합적 인간 본성을 보여줍니다.


인간은 공감 능력과 도덕 감정을 타고나지만, 동시에권력, 상황, 감정, 판단 구조에 따라 악한 행동도 선택할 수 있는 존재입니다.

 

따라서 성선악혼설은 가장 현실적이고 과학적인 인간 본성 이해를 가능하게 해주는 관점입니다.


인간은 절대적으로 선하지도, 악하지도 않으며,그 둘 모두의 가능성을 안고 살아가는 존재입니다.


5. 인간은 언제 선해지고, 언제 악해지는가?

성선악혼설이 제시하는 가장 중요한 메시지는 바로 이것입니다:

 

“인간은 선하거나 악한 본성을 갖고 있는 것이 아니라, 그 둘 모두의 가능성을 내면에 품고 있으며, 어떤 것이 발현될지는 **심리적, 사회적 조건에 따라 달라진다.”

 

그렇다면, 심리학은 선한 행동과 악한 행동이 각각 어떤 조건에서 더 잘 발현되는지 어떻게 설명할까요?


5-1. 선한 행동이 나타나는 심리적 조건

조건 설명 관련 심리 이론
공감 자극이 높을 때 고통을 직접 보거나 감정이입 가능성이 높을수록 공감 이론, 미러 뉴런
익명성이 낮을 때 자신의 행동이 공개되거나 평가받는 상황 사회적 자의식 이론
도덕 기준이 명확할 때 옳고 그름에 대한 내면 기준이 뚜렷할 때 도덕발달이론(콜버그)
역할 모델이 있을 때 주변의 도덕적 행동을 관찰한 경우 사회학습이론 (Bandura)
자율성과 선택이 강조될 때 강요가 아닌 ‘자기결정감’ 기반의 행동 자기결정이론 (Deci & Ryan)

대표 사례:

  • 유아기 공감 실험: 타인의 고통을 목격한 아기는 장난감을 건네주는 등 선한 행동 시도
  • 헬퍼 효과: 선행을 목격한 사람일수록 다음 행동에서 타인을 도우려는 경향이 높아짐

요점: 감정적 연결, 사회적 인식, 도덕적 확신이 선한 행동을 촉진


5-2. 악한 행동이 나타나는 심리적 조건

조건 설명 심리 이론
책임이 분산될 때 ‘내 책임이 아니야’라는 인식 책임 분산 이론 (Darley & Latané)
집단 동일시가 극대화될 때 타 집단을 비인간화하게 되는 경향 내집단 편향, 외집단 혐오
익명성이 높을 때 얼굴이 드러나지 않고, 기록되지 않는 상황 탈개인화 이론 (Zimbardo)
권위에 복종할 때 외적 권위가 행동의 도덕성보다 우선시됨 복종 실험 (Milgram)
감정이 격해졌을 때 분노, 수치심, 공포 등의 정서가 도덕 판단을 왜곡 정서 우위 이론 (Haidt)

대표 사례:

  • 스탠포드 감옥 실험: 역할과 구조만으로도 폭력성 증가
  • 사이버 불링 연구: 익명성과 심리적 거리감이 공격성 증가시킴
  • 폭동 및 군중심리 실험: 탈개인화된 상태에서 개인은 평소보다 더 극단적 행동을 보임

요점: 책임 회피, 동일시의 단절, 감정적 과잉이 악한 행동을 유도


비교 정리: 인간 행동은 언제 선하거나, 악해지는가?

심리 조건 선한 행동 유도 악한 행동 유도
공감 수준 공감 ↑ → 도움 행동 ↑ 공감 ↓ → 냉담/방관 ↑
익명성 낮을수록 도덕적 책임 ↑ 높을수록 비도덕 증가
책임감 분명할수록 양심 작동 ↑ 분산될수록 방관 또는 가해 ↑
도덕 기준 내면화된 기준 ↑ → 정직 ↑ 기준 불명확 → 합리화 ↑
집단 정체성 인간 보편성 강조 → 협동 ↑ 내집단 중심화 → 외집단 공격 ↑
감정 조절 평온할수록 판단 합리 ↑ 격정 상태 → 충동적 판단 ↑

이론적 해석: 인간은 ‘조건 반응형 존재’

  • 인간은 정해진 본성대로 행동하지 않는다
  • 선도 악도 충분히 가능한 선택지이며,
    그 선택은 내면의 기질 + 외부 환경의 상호작용에 의해 결정된다

관련 심리학 개념:

  • 상황주의(Situationism): 행동은 개인의 성향보다 상황의 힘이 더 큼
  • 상호결정론(Reciprocal Determinism): 개인, 행동, 환경이 서로 영향을 주고받음 (Bandura)
  • 도덕 발달 이론 (콜버그): 도덕적 판단은 고정된 것이 아닌, 발달 가능한 구조

결론 메시지

인간은 특정한 상황에서는 놀라울 만큼 선할 수 있지만,또 다른 상황에서는 충격적일 만큼 악한 행동도 가능합니다.


성선악혼설은 바로 이 양면성을 동시에 인정하는 통합적 관점입니다.

 

선과 악은 인간 내면에 모두 존재하며, 어떤 본성이 드러날지를 결정하는 건 ‘조건’과 ‘선택’입니다.


6. 통합 심리학 관점: 선·악 양면성을 인정하는 이론들

이론 핵심 내용 혼합설과의 연결
진화심리학 협동과 공격 모두 생존 전략 선과 악은 생존 방식
프로이트 정신분석 원초적 욕망 + 초자아의 억제 인간 내면의 갈등
사회인지이론 행동은 개인×상황 상호작용 결과 도덕성은 조건적
성격 5요인 이론 모든 성격은 연속선상에 있음 100% 선·악은 없음

요약

🔹 성선악혼설은 인간이 선과 악의 본성을 동시에 지닌다고 본다

🔹 철학·심리학 모두 이중성을 인정하는 복합적 인간관 지향
🔹 실험들은 인간이 특정 조건에서 선하거나 악해질 수 있음을 보여줌
🔹 심리학은 인간을 ‘조건에 따라 달라지는 존재’로 이해함
🔹 선과 악은 고정된 본성이 아니라, 내적 요인 + 외적 상황의 상호작용 결과


결론

성선악혼설은 인간을 이해하는 데 있어 가장 현실적이며 과학적인 관점 중 하나입니다.


인간은 선한 존재이기도 하고, 악한 존재이기도 합니다.


그 두 면은 언제나 함께 존재하며, 상황과 선택에 따라 드러날 뿐입니다.

 

심리학은 이중성을 인정할 때,비로소 인간의 복잡성과 진실에 가까워질 수 있다고 말합니다.

 

우리는 매 순간 ‘어떤 본성을 선택할 것인가’의 기로에 서 있는 존재입니다.


▶ 시리즈 완결 안내

 

[인간 본성 시리즈 다시 보기]


1편: 성악설 – 인간은 본래 악한가?

2025.03.25 - [심리학] - “인간은 본래 악하다? 성악설을 심리학으로 해부하다”

 

“인간은 본래 악하다? 성악설을 심리학으로 해부하다”

“사람은 본래 이기적이고 악한 존재일까?”도덕이란 사회가 만든 가면일 뿐, 인간은 본성적으로 타인을 해치고 자신의 이익만을 추구하는 존재일까? 성악설은 오랜 시간 동안 인간 본성을 바

psychology-money.com

2편: 성선설 – 도덕은 본성인가?

2025.03.25 - [심리학] - “성선설은 이상일 뿐일까? 심리학의 대답은”

 

“성선설은 이상일 뿐일까? 심리학의 대답은”

“아기는 본래 착한가, 아니면 배워야 착해지는가?”“누군가를 도우려는 마음은 타고나는 걸까, 아니면 교육의 산물일까?” 이런 질문은 단순한 호기심을 넘어서 철학과 심리학, 윤리학 전체

psychology-money.com

3편: 성무성악설 – 인간은 백지인가?

2025.03.25 - [심리학] - “인간은 백지 상태로 태어난다? 성무성악설의 심리학적 의미”

 

“인간은 백지 상태로 태어난다? 성무성악설의 심리학적 의미”

“인간은 태어날 때 완전한 백지일까?”“선하지도, 악하지도 않으며, 오직 환경이 인간을 만든다는 주장… 과연 심리학은 어떻게 바라볼까?” 성무성악설(性無善惡說)은 인간은 태어날 때 선

psychology-money.com

 

4편: 성선악혼설 – 인간은 이중적 존재인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