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심리학

아이들은 폭력을 따라 배운다? 보보 인형 실험의 충격적 결론

by 심리학. 2025. 3. 26.

아이 앞에서 화를 낸 적이 있으신가요?


혹은 TV에서 누군가를 때리는 장면을 그냥 흘려보낸 적은요?

 

“아이들은 말보다 행동을 더 잘 기억한다”는 말, 실제로 심리학 실험에서 증명됐습니다.

 

1961년, 미국의 심리학자 앨버트 반두라(Albert Bandura)는 한 단순한 인형 실험을 통해 “인간은 타인의 행동을 관찰만 해도 그것을 학습하고 따라 한다”는 충격적인 결과를 발표했습니다.

 

 

 

 

그 실험이 바로 보보 인형 실험(Bobo Doll Experiment)입니다.


이 실험은 이후 아동 발달, 교육, 미디어 영향, 폭력성 학습에 대한 연구의 기초가 되었고, 지금도 심리학 교과서에 빠지지 않고 등장하는 고전적 실험으로 꼽힙니다.

모델링,사회학습,보보인형실험,앨버트 반두라,심리학,폭력

 

 


목차

1. 보보 인형 실험이란?
2. 실험 구성과 과정
3. 실험 결과: 폭력은 학습된다
4. 이 실험이 심리학에 남긴 의미
5. 오늘날 우리의 삶에 주는 메시지

 


1. 보보 인형 실험이란?

보보 인형(Bobo Doll)은 무게 중심이 아래 있어 치면 다시 일어나는 팽창형 인형입니다.


반두라는 이 인형을 활용해, 아이들이 어른의 폭력적 행동을 ‘관찰만으로’ 학습할 수 있는가를 실험했습니다.


2. 실험 구성과 과정

앨버트 반두라(Albert Bandura)는 1961년 미국 스탠퍼드 대학에서 “공격성은 학습될 수 있는가?”라는 질문을 검증하기 위해
보보 인형 실험’을 설계했습니다.


그는 아이들이 어른의 공격적 행동을 관찰만으로도 따라 하게 되는지를 관찰했습니다.


실험 목적

  • 행동주의의 한계를 넘어,
    인간이 직접 경험 없이도 행동을 학습할 수 있는가 확인
  • 폭력성은 선천적인 본능이 아니라, 환경에 의해 학습되는가?를 실증하고자 함

피실험자 구성

  • 총 72명의 유아
  • 나이: 3세~6세 (평균 약 4.5세)
  • 성별: 남아 36명 / 여아 36명
  • 모두 스탠퍼드 대학 부속 유치원생

※ 성별에 따른 반응 차이도 함께 분석 가능하도록 설계됨


실험 설계: 총 3가지 그룹

반두라는 아이들을 무작위로 3개 그룹으로 나눴습니다.

그룹명 실험 조건 목적
1. 공격 모델 그룹 성인 모델이 보보 인형을 때리고 발로 차며 폭력적 행동 시연 관찰만으로 공격성 행동이 학습되는가?
2. 비공격 모델 그룹 성인 모델이 인형과 차분히 놀거나 책을 읽는 평화로운 행동 시연 비교 대상
3. 통제 그룹 아이는 모델을 관찰하지 않고, 바로 놀이방에 투입 순수 기준치 확보

공격 모델은 남성 모델과 여성 모델 각각 존재해 성별 영향도 함께 분석할 수 있도록 설계


실험 단계 요약 (3단계 절차)

① 모델링 단계 (관찰 단계)

  • 아이는 편안한 방에서 성인 모델의 행동을 지켜봄 (약 10분)
  • 공격 그룹: 모델이 주먹, 망치, 욕설, 발길질 등 물리·언어적 공격을 시연
  • 비공격 그룹: 모델이 퍼즐 맞추기, 인형과 이야기하기 등 평화적 상호작용 시연

② 좌절 유도 단계 (감정 자극)

  • 모든 아이는 잠시 다른 방으로 옮겨지고,
    그곳에서 흥미로운 장난감을 만지게 한 뒤 곧 회수당함
  • 공격 행동을 유발할 수 있는 ‘좌절감’ 유도 (일종의 표준화된 자극 조건)

③ 행동 관찰 단계 (자유 놀이 및 기록)

  • 아이는 보보 인형이 놓인 세 번째 방으로 들어감
  • 아이의 행동을 1분 단위로 20분간 관찰하고 기록
    • 관찰된 행동 유형:
      • 직접 모방 (모델과 동일한 공격 행동)
      • 유사 행동 (공격이지만 모델과는 다름)
      • 비공격적 행동 (조용히 놀기, 관찰 없음)

통제 요소

  • 실험은 개별 진행
  • 모든 세션은 녹화 및 코드화되어 수치화 분석 가능
  • 사전 공격 성향이 높은 아이/낮은 아이를 고르게 분배

정리

보보 인형 실험은 단순한 관찰이 아니라,정교하게 설계된 전형적인 실험심리학 연구 구조입니다:

  • 무작위 그룹 분류(Random Assignment)
  • 변수 통제 (성별, 사전 공격성)
  • 행동 기록의 수치화
  • 모델링 이론 검증을 위한 직·간접 비교

이는 심리학 연구로서도 매우 높은 과학적 신뢰도와 재현 가능성을 보여준 사례로 평가받습니다.


관찰,모델링,부모,아동,아이,교육,발달,관찰,공격성,행동,남성,여성,남아,여아,아빠,엄마

3. 실험 결과: 폭력은 ‘직접 교육’이 아니라 ‘관찰’로도 학습된다

보보 인형 실험이 전 세계 심리학 교과서에 실리게 된 이유는 단 하나입니다.


아이들은 단순히 ‘보고만 있어도’ 공격적인 행동을 학습한다는 점이 명확히 입증되었기 때문입니다.


이 실험은 인간이 학습하는 방식이 단순한 보상-처벌 조건만이 아니라,‘관찰과 모방’만으로도 가능하다는 사실을 실험적으로 보여준 최초의 사례 중 하나입니다.


실험 결과 요약 (반두라의 공식 발표 내용 기준)

그룹 관찰 후 아이들의 행동 반응
공격 모델 그룹 대부분 보보 인형을 주먹으로 치고, 발로 차며, 말 그대로 따라 함
비공격 모델 그룹 공격성 거의 없음. 평화롭게 놀이하거나 무반응
통제 그룹 중립적 반응. 공격과 비공격이 혼재됨

정량적 행동 분석

  • 공격 모델 그룹 아이들은 공격적 행동을 평균 38회 이상 시도
  • 비공격 그룹은 3~4회 이하
  • 통제 그룹은 8~10회 수준

공격 모델을 본 아이들은 10배 이상 높은 공격성 빈도를 보임


공격 유형별 분류

공격 유형 예시 관찰 여부
신체적 공격 주먹질, 발차기, 인형을 넘어뜨리기 주로 남아에게서 빈번
언어적 공격 “때려버릴 거야!” “멍청한 인형!” 등 모델의 욕설을 그대로 재현
도구 사용 장난감 망치로 가격, 물건을 던짐 성인 모델의 행동과 일치
창의적 공격 모델과는 다른 새로운 공격 방식 공격성 일반화 가능성 시사

성별에 따른 반응 차이

성별 특징
남아 신체적 공격성이 뚜렷하게 높음
여아 공격 모델이 여성일 경우 더 모방하는 경향
→ 성역할 기대와 모방 경향이 모델의 성별과 일치할수록 증가  

핵심 발견

  • 아이들은 직접적인 훈련이나 지시 없이도,단지 어른의 공격 행동을 관찰했을 뿐인데,그 행동을 거의 동일하게 재현
  • 특히 주목할 점은, 일부 아이들은 기존에 없던 새로운 공격 행동까지 만들어냈다는 사실
    → 이는 단순한 따라 하기(모방)를 넘어 공격성 개념의 내면화와 일반화를 의미

결론: 공격성은 ‘경험’보다 ‘관찰’을 통해 더 쉽게 학습된다

  • 반두라는 이 실험을 통해 “인간은 타인의 행동을 내면의 모델로 삼아 학습한다”고 결론지었습니다.
  • 이는 기존의 행동주의(보상과 처벌 중심 학습 이론)과는 다른 차원의 사회학습이론(social learning theory)을 정립하는 기반이 되었습니다.

요점 정리

“아이들은 말보다 행동을 더 잘 기억한다.”

 

보보 인형 실험은 이 말을 과학적으로 증명했습니다.


아이들은 눈으로 본 행동을 모델 삼아 따라하며,

 

그 과정에서 자신의 감정이나 경험과 무관하게 공격성을 ‘학습’할 수 있습니다.


4. 이 실험이 심리학에 남긴 의미

보보 인형 실험은 단지 유아의 공격 행동을 관찰한 연구가 아닙니다.


이 실험은 심리학이 인간 학습을 이해하는 방식을 근본적으로 바꿔놓은 기념비적 전환점이었습니다.


4-1. 사회학습이론(Social Learning Theory)의 탄생

앨버트 반두라는 이 실험을 바탕으로
인간 행동이 어떻게 “관찰과 모방”을 통해 형성되는지를 이론화했습니다.

핵심 개념:

  • 모델링(Modeling): 타인의 행동을 관찰하고 이를 자신의 행동에 적용
  • 관찰 학습(Observational Learning): 직접 경험 없이도 학습 가능
  • 강화 없이도 학습 가능: 보상·처벌이 없어도 단지 행동을 보는 것만으로도 학습이 발생함

이 이론은 행동주의 심리학(Behaviorism)의 한계를 보완하며,인지심리학 + 행동심리학의 중간 다리 역할을 하게 됩니다.


4-2. 기존 행동주의 이론에 대한 도전

이론 설명 보보 인형 실험과의 차이점
행동주의 (Skinner 등) 자극 → 반응 → 강화 or 처벌로 학습됨 학습은 보상/처벌 없이는 일어나지 않음
반두라의 사회학습이론 관찰만으로도 학습 가능 강화 없이도 행동 습득 확인됨

보보 인형 실험은 인간이 단순 자극-반응 기계가 아니라,타인을 통해 행동 규칙을 '인지적으로 추론'하고 내면화하는 존재임을 보여줌


4-3. 인간 학습 메커니즘에 대한 패러다임 전환

보보 인형 실험은 인간 학습을 단순 반복과 조건화에서 벗어나 사회적 맥락 속에서 타인을 통해 배우는 ‘사회적 존재’로 규정하게 만들었습니다.

실험이 주는 통찰:

  • 인간은 의식적이든 무의식적이든, 타인을 ‘모델’로 삼아 배우는 존재
  • 관찰 학습은 유아기뿐 아니라 청소년기, 성인기, 조직 내 행동, 사회적 규범 내면화 등 전 생애에 걸쳐 작동

4-4. 다양한 심리학 분야에 미친 영향

교육심리학

  • “가르치지 않아도 배운다” → 교사의 행동 모범 중요성 부각
  • 롤모델 효과와 학습 분위기의 정서적 영향 강조

발달심리학

  • 유아기 도덕성과 공격성 발달에서 모방이 핵심 메커니즘임을 실증
  • 이후 유아기 공감 실험, 정서 모방 실험 등 발전

미디어심리학

  • TV, 게임 등 폭력적 콘텐츠가 공격 행동을 유발할 수 있음을 과학적으로 뒷받침
  • 이후 청소년 폭력·모방 범죄 연구의 이론적 토대 제공

범죄심리학

  • 청소년 비행, 갱 문화 등에서의 ‘사회적 모델링’ 메커니즘 해석에 영향
  • “어떤 모델을 가까이 두고 자랐는가”가 범죄 성향과 관련됨

4-5. 반두라 이후의 확장 연구

보보 인형 실험은 단발 실험이 아니라,반두라가 평생에 걸쳐 전개한 인지적 사회학습 이론(Cognitive Social Learning Theory)의 출발점이었습니다.

  • 이후 반두라는 인간의 자율성, 자기효능감(self-efficacy), 자기조절(self-regulation) 등으로 연구를 확장
  • 인간을 수동적 피학습자가 아니라,
    능동적 판단자이자 자기 조절자로 이해하는 방향으로 나아감

이론적 확장성과 깊이 면에서, 보보 인형 실험은 단순한 실험이 아닌 '학파'의 출발점이었다고 평가받습니다.


5. 오늘날 우리의 삶에 주는 메시지

이 실험은 지금도 교육과 미디어 환경에서 매우 중요한 시사점을 줍니다:

영역 시사점
부모 아이 앞에서의 언행, 감정 조절이 곧 교육
미디어 폭력적 콘텐츠의 반복 노출 → 모방 행동 가능
교육 도덕 교훈보다 ‘행동 시범’이 효과적
사회 아동 범죄, 청소년 폭력은 사회적 모델의 반영

“하지 말라”고 말하는 것보다 “하지 않는 모습을 보여주는 것”이 훨씬 강력한 교육입니다.


요약

★ 보보 인형 실험은 아이들이 폭력 행동을 ‘관찰만으로도’ 모방함을 입증

★ 사회학습이론: 인간은 타인의 행동을 모델링하고 학습
★ 폭력성은 본능보다 환경과 학습의 영향
★ 가정, 미디어, 사회는 모두 아이의 행동 모델
★  아이는 말보다 행동을 따라 배운다


보보 인형 실험은 우리에게 인간은 단지 말로 가르쳐지는 존재가 아니라, ‘관찰하고 따라 하는 존재’임을 분명하게 보여주었습니다.

 

특히 어린이는

 

“폭력은 나쁜 거야”라는 말보다, “폭력적으로 행동하는 어른”을 더 빠르게 받아들이고 모방합니다.

 

이 실험은 단지 유아 행동 연구가 아니라,우리가 어떤 사회적 모델을 제공하고 있는지 돌아보게 하는 거울입니다.


오늘날 우리는 아이들 앞에서 무엇을 보여주고 있을까요?


TV에서, 유튜브에서, 교실에서, 가정에서…

 

당신이 무심코 한 행동 하나가, 누군가의 행동 교과서가 될 수 있습니다.

 

가장 강력한 교육은 말이 아니라 모델링입니다.

우리는 매일 아이들의 거울이 되고 있습니다.

 

그들이 비추는 모습이 폭력일지,아니면 존중과 공감일지는 우리의 몫입니다.

 

2025.03.21 - [심리학] - 엄마 vs 아빠? 오이디푸스 콤플렉스와 일렉트라 콤플렉스가 인간관계에 미치는 영향

 

엄마 vs 아빠? 오이디푸스 콤플렉스와 일렉트라 콤플렉스가 인간관계에 미치는 영향

“왜 나는 항상 비슷한 타입의 사람에게 끌릴까?”“내가 부모님과의 관계에서 겪었던 문제가 지금의 인간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걸까?”  이런 질문을 던져본 적이 있으신가요?우리가 맺는 인

psychology-money.com

2025.02.27 - [심리학] - 우리 아이, 더 잘할 수 있다! 비고츠키 ZPD와 스캐폴딩을 활용한 부모의 역할

 

우리 아이, 더 잘할 수 있다! 비고츠키 ZPD와 스캐폴딩을 활용한 부모의 역할

"왜 우리 아이는 스스로 학습하지 못할까?"많은 부모님들이 아이의 학습 과정에서 고민합니다. "우리 아이는 왜 스스로 공부하지 못할까?" "옆에서 도와줘야만 이해하는 걸까?" "어떻게 하면 아이

psychology-mone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