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신도 범죄자에게 끌릴 수 있다?
전 세계적으로 유명한 살인범, 강력 범죄자들의 뉴스 댓글창에는 종종 의외의 반응이 보입니다.
“왜 이렇게 멋있지?”, “그의 어린 시절이 안쓰럽다”, “그런 사람도 사랑받아야 해” 심지어 일부 강력범죄자의 팬클럽, 러브레터, 결혼 제안까지 이어집니다.
도대체 왜, 누군가는 살인범에게 사랑을 느끼는 걸까?
이 현상은 심리학에서 하이브리스토필리아(Hybristophilia)라 불리며, 범죄심리학에서 매우 주목하는 심리 현상입니다.
사랑과 범죄가 만나는 기묘한 심리
하이브리스토필리아는 폭력적 범죄자, 살인범, 연쇄살인마 등 사회적으로 용납될 수 없는 인물에게 강한 매혹과 사랑을 느끼는 심리 현상입니다.
이 현상은 단순한 호기심이 아니라, 심리학적으로 구조화된 사랑 욕구의 왜곡된 표현으로 연구되고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하이브리스토필리아의 정의, 심리적 원인, 실제 사례, 위험성을 범죄심리학 관점에서 깊이 있게 파헤쳐보겠습니다.
목차
1. 하이브리스토필리아란 무엇인가?
2. 하이브리스토필리아의 심리학적 원인
3. 범죄자에게 끌리는 사람들의 심리적 특징
4. 하이브리스토필리아 실제 사례
5. 범죄심리학적 관점에서 본 위험성
1. 하이브리스토필리아란 무엇인가?
▶️ 정의
하이브리스토필리아(Hybristophilia)는 사회적으로 용납될 수 없는 범죄자에게 성적·정서적 매력을 느끼는 심리 현상을 말합니다.
심리학자 존 머니(John Money)가 1986년 처음 명명한 개념으로, 강력범죄자, 살인범, 성폭력 가해자 등 위험한 인물에게 로맨틱하거나 성적 관심을 갖는 현상을 포괄합니다.
▶️ 특징
- 일반적 연애 감정과 다른 위험 요소에 대한 매혹
- 범죄자의 폭력성, 사회적 금기성에서 흥분과 매력을 느낌
- 자기 파괴적 관계임을 인식하고도 빠져드는 심리 구조
2. 하이브리스토필리아의 심리학적 원인
하이브리스토필리아는 단순한 기이한 취향이나 호기심의 결과가 아닙니다.
범죄심리학과 임상심리학에서는 이 현상을 심리 구조의 왜곡과 내면 욕구의 병리적 표현으로 해석하고 있습니다.
📌 주요 심리 원인과 작동 메커니즘
① 구원 욕구 (Savior Complex)
하이브리스토필리아를 가진 사람들은 자신이 ‘범죄자를 바꿀 수 있다’, ‘나만은 그 사람의 진짜 모습을 이해할 수 있다’고 믿는 경우가 많습니다.
🧠 심리학적 배경
- 상대방을 구원하고 싶은 심리적 구조 → 도덕적 우월감, 자기 정체감 강화를 위한 심리적 장치
- 어린 시절 부모, 보호자와의 불안정 애착에서 비롯되는 경우 많음 → 애정 결핍 → 파괴적 대상을 구원하려는 욕구로 왜곡
📊 실제 사례
- 미국 연쇄살인범 테드 번디의 여성 팬들 다수는 “그의 상처를 내가 치유할 수 있다”고 언론 인터뷰에서 주장
② 위험과 통제의 이중적 매혹
하이브리스토필리아의 핵심 심리 중 하나는 위험한 존재에게 끌리면서도, 그 위험을 통제할 수 있다는 심리입니다.
🧠 심리학적 배경
- 스릴 추구 성향(Sensation Seeking) → 극도의 위험 상황에서 흥분감과 쾌감을 느끼는 심리
- 심리적 안전지대 확보 → 상대가 감옥에 있기 때문에 실제로는 자신에게 위협이 되지 않는다는 인식
▶️ 위험한 존재를 안전한 거리에서 소유하고 싶어 하는 모순된 심리 구조
③ 자존감 결핍과 열등감
하이브리스토필리아를 가진 일부 사람들은 자신의 열등감, 낮은 자존감을 범죄자라는 사회적으로 더 ‘타락한 존재’와의 관계를 통해 보상하려는 심리가 강합니다.
🧠 심리학적 배경
- 자기 가치 하락 → 나보다 더 바닥에 있는 존재를 사랑함으로써
상대적 우월감 확보 - 비정상적 관계 속에서만 인정받고 있다고 느끼는 심리 구조
📊 실제 사례
- 국내 강력범죄자 팬카페 회원 인터뷰 → “사회에서 나는 가치 없는 존재였는데, 그(범죄자)도 세상에게 외면당한 사람이니 나와 비슷하고 나를 필요로 할 것 같았다.”
④ 애착 장애와 왜곡된 사랑 욕구
불안정 애착 유형(Anxious Attachment)을 가진 경우, 정상적이고 건강한 인간관계에서 사랑과 관심을 충족시키지 못하고,
극단적이고 강력한 관계로 끌리는 경향이 있습니다.
🧠 심리학적 배경
- 유년기 부모와의 애착 불안, 방임, 학대 경험 → 파괴적 관계에 집착
- 상대방의 폭력성, 위험성조차 관계의 강렬한 증거로 착각
⑤ 사회적 금기심리와 금단의 판타지
사람은 본능적으로 금지된 것, 위험한 것에 대한 호기심을 가지며 이를 심리학에서는 금기 효과 (Forbidden Fruit Effect)라 부릅니다.
하이브리스토필리아 역시 사회적으로 금지된 대상을 향한 금기심과 판타지 충족 욕구가 핵심 요인 중 하나입니다.
🧠 심리학적 배경
- 금지된 대상을 향한 욕구가 사회적 억압을 뚫고 극단적으로 표현
- 정상적 인간관계에서의 통제 불가능성 → 범죄자와의 비정상적 관계에서 통제감 확보
🚨 종합 심리 구조
하이브리스토필리아는 다음과 같은 심리 구조로 요약할 수 있습니다.
정서적 결핍 + 자존감 문제 + 위험에 대한 쾌락 추구 + 구원 욕구 → 범죄자에게 사랑을 투사하는 심리적 왜곡
범죄심리학에서는 이 심리 구조를 관계 중독, 자기 파괴적 애착, 도덕적 혼란이라는 측면에서 평가하며 개인뿐 아니라 사회적 위험성으로 연결될 수 있다고 경고합니다.
3. 범죄자에게 끌리는 사람들의 심리적 특징
하이브리스토필리아를 경험하는 사람들은 대부분 정상적 대인관계와는 다른 심리 패턴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들의 공통적 심리 특성은 자기애, 자존감, 애착 유형, 현실 인식 구조에서특정한 심리적 취약성을 보여줍니다.
범죄심리학에서는 다음과 같은 특징들을 주목합니다.
📌 1) 감정적 의존성 (Emotional Dependency)
하이브리스토필리아 성향을 가진 사람들은 대체로 감정적으로 불안정하고, 타인의 관심과 애정에 과도하게 의존하는 경향이 강합니다.
🧠 심리학적 배경
- 애착 이론에 따르면, 유년기의 불안정 애착 경험 → 성인기의 감정적 의존 성향으로 이어짐
- 상대방의 폭력성, 위험성조차도 ‘관심의 증거’로 해석
📊 실제 예시
- 국내 강력범죄자 팬카페 회원 중 “그가 내 편이라고 생각했을 때 살아있다는 느낌이 들었다” 라는 인터뷰 다수
📌 2) 현실 회피 성향 (Fantasy-Based Thinking)
범죄자에게 끌리는 사람들은 현실적 위험성보다, 자신의 내면에서 만들어낸 ‘로맨틱 판타지’에 몰입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 심리학적 배경
- 현실 회피적 사고 스타일 (Fantasy Prone Personality)
→ 비현실적 서사 속에서 ‘범죄자도 누군가에게는 순수하고 착한 사람’이라는 내러티브 구축
📊 특징
- 범죄자의 폭력성, 과거 범죄를 의도적으로 무시하거나 미화
- 사회적 평가보다 자기 내면의 서사를 우선시
📌 3) 공감 능력의 왜곡 (Maladaptive Empathy)
일반적인 공감 능력과 달리, 하이브리스토필리아 성향자는 피해자가 아닌 가해자에게 과도하게 감정 이입하는 경향을 보입니다.
🧠 심리학적 배경
- 투사적 동일시(Projective Identification)
→ 자신의 상처, 외로움을 범죄자에게 투사하고 그와 자신을 동일시
📊 사례
- 테드 번디 재판 당시 팬레터 내용 중 다수 → “당신도 사랑받지 못해 상처받은 사람일 뿐이에요.”
📌 4) 자존감 결핍과 열등감 보상
자신에 대한 부정적 자아 인식과 사회적 인정 욕구가 충족되지 않은 사람일수록 극단적 존재와의 관계를 통해 자기 존재감을 확인하려는 경향이 있습니다.
🧠 심리학적 배경
- 열등감 보상 기제 (Inferiority Compensation)
→ 자신보다 ‘더 나쁜 사람’과의 관계에서 상대적 우월감, 통제감을 얻으려는 심리
📊 특징
- “나는 저런 위험한 사람조차 사랑해 줄 수 있는 특별한 사람”이라는 왜곡된 자기 확신 추구
📌 5) 관계 중독 성향 (Relationship Addiction)
일부는 단순히 범죄자에게 호감을 느끼는 것을 넘어 위험한 관계 자체에 중독되어 있는 경우도 있습니다.
🧠 심리학적 배경
- 자기 파괴적 애착 구조 (Self-Destructive Attachment)
→ 반복적으로 자신에게 해로운 대상을 선택하고 극단적 감정 기복에서 존재감을 느끼려는 심리
🎯 종합 심리 프로필
심리 특성 | 특징 |
감정적 의존성 | 상대에게 과도한 애정 기대, 버림받음에 대한 불안 |
현실 회피 | 범죄자의 실제 위험성 외면, 로맨스 판타지 구축 |
공감 왜곡 | 피해자보다 가해자에게 감정 이입 |
자존감 결핍 | 극단적 존재와의 관계로 자기 존재 확인 |
관계 중독 | 위험하고 파괴적인 인간관계에 반복적으로 빠짐 |
📌 범죄심리학적 시사점
하이브리스토필리아 성향은 단순한 개인 성향이 아니라, 심리학적으로 충분히 설명 가능한 ‘애착의 왜곡, 자기 가치 결핍, 현실 인식의 왜곡’이라는 구조적 심리 패턴에서 비롯됩니다.
따라서 범죄심리학에서는 해당 심리를 단순한 호기심으로 소비하는 것이 아니라, 심리적 개입과 사회적 교육이 필요하다고 강조합니다.
4. 하이브리스토필리아 실제 사례
하이브리스토필리아는 단순한 이론적 개념이 아니라, 실제로 여러 사례에서 관찰된 현상입니다.
특히, 악명 높은 범죄자들에게 매혹된 사람들이 그들에게 편지를 보내거나 심지어 결혼에 이르는 경우도 있었습니다. 아래에 대표적인 사례들을 소개합니다.
1) 테드 번디(Ted Bundy)
사건 개요: 테드 번디는 1970년대에 최소 30명 이상의 여성을 살해한 미국의 연쇄살인범입니다.
하이브리스토필리아 사례:
- 팬레터와 결혼 제안: 번디는 수감 중 수백 통의 팬레터를 받았으며, 일부는 누드 사진이나 결혼 제안을 포함하고 있었습니다.
- 법정 내 결혼: 번디는 재판 중 증인으로 출석한 **캐롤 앤 분(Carole Ann Boone)**에게 청혼하였고, 그녀는 이를 수락하여 법정에서 결혼을 선언하였습니다.
2) 리처드 라미레즈(Richard Ramirez)
사건 개요: '나이트 스토커(Night Stalker)'로 알려진 리처드 라미레즈는 1984년부터 1985년 사이에 캘리포니아에서 최소 13명을 살해한 연쇄살인범입니다.
하이브리스토필리아 사례:
- 팬들의 관심: 라미레즈는 체포 후 많은 여성 팬들로부터 편지와 방문을 받았습니다.
- 수감 중 결혼: 1996년, 라미레즈는 팬 중 한 명인 도린 리오이(Doreen Lioy)와 샌 퀜틴 주립 교도소에서 결혼하였습니다.
3) 제프리 다머(Jeffrey Dahmer)
사건 개요: 제프리 다머는 1978년부터 1991년 사이에 17명의 남성을 살해하고 그 시신을 훼손한 미국의 연쇄살인범입니다.
하이브리스토필리아 사례:
- 팬들의 선물과 편지: 다머는 동성애자이자 식인을 저지른 범죄자임에도 불구하고, 수감 중 여성들로부터 편지, 돈, 선물 등을 받았습니다. Wikipedia
4) 찰스 맨슨(Charles Manson)
사건 개요: 찰스 맨슨은 1960년대 말 '맨슨 패밀리'라는 컬트를 이끌며 일련의 살인 사건을 지휘한 인물입니다.
하이브리스토필리아 사례:
- 팬들의 지지와 결혼 시도: 맨슨은 수감 중에도 많은 여성 추종자들의 지지를 받았으며, 일부는 그와 결혼을 시도하기도 했습니다.
5. 범죄심리학적 관점에서 본 위험성
하이브리스토필리아는 단순히 특정 개인의 ‘취향’이나 ‘호기심’으로 끝나는 문제가 아닙니다.
범죄심리학에서는 이 심리 현상이 사회적, 심리적, 범죄 예방적 측면에서 다음과 같은 심각한 위험성을 동반한다고 평가합니다.
🚨 ① 범죄의 미화 및 정당화 위험
하이브리스토필리아 성향은 범죄자에 대한 과도한 감정 이입과 미화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살인, 폭력, 성범죄 등 강력 범죄가 일종의 로맨틱 서사로 왜곡될 위험이 있습니다.
📌 심리학적 문제
- 범죄자에게 동정적 서사, 영웅화 서사를 부여
- 범죄 자체의 도덕적 경계선이 흐려짐
📊 사회적 사례
- 해외 연쇄살인범들의 팬카페, 미화 게시물 다수 존재
- 실제 범죄 다큐멘터리 제작 후, 가해자에게 수많은 팬레터 도착 사례
⚠️ ② 피해자에 대한 2차 가해
하이브리스토필리아는 범죄 피해자와 그 유가족에게 심각한 심리적 상처를 남길 수 있습니다.
📌 위험성 구조
- 범죄자의 사회적 이미지 미화 → 피해자의 고통이 희석
- 피해자와 가족의 존엄성 침해
- 사회적 논의가 가해자 중심으로 흘러가며 피해자 입장 소외
🚧 ③ 범죄 모방 및 관심 유도 범죄 가능성
일부 범죄자들은 자신이 유명해지고, 주목받고, 사랑받는다는 사실 자체가 범죄 충동을 강화하는 원인이 되기도 합니다.
📌 범죄심리학 연구
- 범죄자들이 언론 노출, 대중의 관심, 여성 팬들의 지지를 인지했을 때 자기애적 만족감과 범죄 지속 가능성 증가
📊 실제 사례
- 일부 강력 범죄자들이 체포 이후 인터뷰에서 "팬들의 지지"에 대한 언급
- 유사 범죄 발생 시 "범죄자가 되면 주목받을 수 있다"는 왜곡된 동기 부여 가능성
🚫 ④ 자기 파괴적 관계와 심리적 피해
하이브리스토필리아 성향을 가진 개인들은 범죄자와의 비정상적 관계를 통해 심리적, 물리적 피해를 입을 가능성이 매우 높습니다.
📌 위험성 구조
- 실제 범죄자와 연애, 결혼, 동거 과정에서 가정 폭력, 경제적 착취, 심리적 학대 발생 가능
- 관계 중독, 자기 존중감 붕괴, 자살 충동 등 심리적 후유증
📊 사례
- 실제로 일부 하이브리스토필리아 성향 여성들이 수감 중 범죄자와 결혼 후 가정 폭력 피해로 상담 사례 접수
🎯 범죄심리학적 경고
범죄심리학에서는 하이브리스토필리아를 사회적으로 매우 위험한 심리 구조로 분류하며 다음과 같은 대응이 필요하다고 강조합니다.
대응 방안 | 내용 |
심리 평가 | 하이브리스토필리아 성향 인식 및 심리상담 개입 |
미디어 윤리 강화 | 범죄자 미화 콘텐츠 자제, 피해자 중심 서사 확립 |
사회 교육 | 하이브리스토필리아 현상의 심리학적 위험성에 대한 대중 교육 |
예방 정책 | 범죄자와의 위험한 관계 형성에 대한 법적·사회적 경계 마련 |
📌 핵심 메시지
하이브리스토필리아는 개인적 취향의 문제가 아니라, 범죄 미화, 피해자 2차 가해, 사회적 위험성을 내포한 심리 현상입니다.
범죄심리학에서는 이를 사회적 범죄 예방 차원에서 주목해야 할 중요한 심리 경고 신호로 보고 있습니다.
✅ 요약 – 하이브리스토필리아 핵심 정리
구분 | 내용 |
📌 정의 | 하이브리스토필리아(Hybristophilia)는 강력 범죄자, 살인범 등 위험한 인물에게 정서적·성적 매력을 느끼는 심리 현상 |
🎯 심리학적 원인 | 구원 욕구, 위험에 대한 쾌락 추구, 자존감 결핍, 애착 장애, 사회적 금기심리 등 복합적 심리 요인 |
🧠 심리적 특징 | 감정적 의존성, 현실 회피, 공감 왜곡, 자존감 부족, 자기 파괴적 애착 성향 |
🔍 실제 사례 | 테드 번디, 리처드 라미레즈, 제프리 다머 등 해외 유명 범죄자 팬레터·결혼 사례 다수 |
🚨 사회적 위험성 | 범죄 미화, 피해자 2차 가해, 범죄 모방 자극, 자기 파괴적 관계 유도 등 심각한 사회적 문제로 확산 가능성 |
✅ 범죄심리학적 경고 | 범죄자 미화 콘텐츠 경계, 심리 상담 개입, 사회적 교육 필요 |
📌 추가 요약 문구 (SNS 카드뉴스용)
“범죄자에게 사랑을 느끼는 심리, 단순한 취향이 아니다.
하이브리스토필리아는 자기 파괴적 욕망과 사회적 위험을 내포한 심리 현상이다.”
위험한 사랑, 하이브리스토필리아가 남기는 경고
하이브리스토필리아(Hybristophilia)는 단순한 기괴한 취향이나 흥미거리로 끝나지 않습니다.
그 심리 구조 안에는 정서적 결핍, 위험에 대한 쾌락 추구, 애착의 왜곡, 사회적 금기에 대한 매혹이라는 인간 심리의 어두운 단면이 숨어 있습니다.
더 큰 문제는, 이러한 심리가 범죄자 개인에 대한 동정과 사랑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 범죄 미화,
▶️ 피해자 2차 가해,
▶️ 범죄 모방 위험
이라는 사회적 위험성으로 확장된다는 점입니다.
범죄심리학은 하이브리스토필리아를 특이한 개인의 문제가 아니라, 우리 사회가 범죄와 폭력을 어떻게 바라보고 소비하는지에 대한 집단 심리학적 경고로 보고 있습니다.
누군가의 폭력과 범죄를 사랑이라는 이름으로 포장할 때, 그 대가는 결국 사회 전체가 치르게 될 수 있습니다.
2025.04.03 - [심리학] - 살인범의 심리 – 평범한 사람은 왜 살인을 저지를까?
살인범의 심리 – 평범한 사람은 왜 살인을 저지를까?
살인은 특별한 사람만 저지를까?뉴스 속 살인 사건을 볼 때 우리는 종종 이렇게 생각합니다.“저 사람은 원래부터 이상한 사람 아닐까?”하지만 심리학적 연구에 따르면,누구나 특정 조건과 심
psychology-money.com
'심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연쇄살인범의 심리 – 왜 그들은 멈추지 못하는가? (0) | 2025.04.05 |
---|---|
사이코패스 테스트 – 당신 주변의 사이코패스를 판별하는 20가지 질문 (0) | 2025.04.05 |
살인범의 심리 – 평범한 사람은 왜 살인을 저지를까? (0) | 2025.04.04 |
사이코패스 vs 소시오패스 vs 나르시시스트 - 범죄심리학으로 구분하기 (0) | 2025.04.04 |
거짓말 탐지기란? 원리부터 정확도까지 심리학적으로 파헤치기 (1) | 2025.04.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