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심리학

공감 못하는 사람들의 6가지 말투

by 심리학. 2025. 3. 28.

“그게 왜 문제야?”

“너가 예민해서 그래.”                                                                        “나는 그런 건 잘 모르겠네…”

 

 

대화 속에서 마주치는 이런 말들,한두 번은 넘어갈 수 있지만 지속되면 정서적 피로가 쌓입니다.


혹시 그 사람이 공감 능력이 부족한 사람은 아닐까요?

 

 

 

 

심리학에서는 공감(Empathy)을 타인의 감정을 인식하고, 이해하고, 그에 적절히 반응하는 능력이라고 정의합니다.

 

공감력은 단순히 감정을 “알아주는 것”이 아니라, 그 감정을 존중하고 함께 연결되는 방식으로 표현될 때 비로소 관계를 살립니다.

 

하지만 공감 능력이 부족한 사람은 자신도 모르게 상대방을 무시하거나 단절시키는 말투를 반복합니다.

공감,T,예민,존중,연결,공감능력,말투,차단,개인화,분리,회피


목차 (TOC)

1. “그건 네 문제잖아”
2. “난 잘 모르겠는데”
3. “다 그렇게 살아”
4. “내가 그랬다면 더 잘했을걸?”
5. “그거 별일 아니야”
6. “말을 왜 그렇게 해?”


 

1. “그건 네 문제잖아”

 

공감 단절형 말투 : 핵심 심리: 감정 분리, 책임 회피

 

이 말은 상대방의 고민이나 감정을 철저히 개인화하며, ‘나는 상관없다’는 태도를 드러냅니다.


공감은 기본적으로 감정의 공유인데, “그건 네 문제야”라는 표현은 그 공유를 차단하는 선언입니다.

상황 예시

A: “요즘 일 너무 많아서 버겁다…”
B: “그건 네가 감당 못하는 거잖아. 난 괜찮은데?”

▶ 이런 반응은 상대의 감정을 무효화(invalidation)시키고,감정 표현을 더 이상 하지 않게 만드는 원인이 됩니다.


감정 접근 회피,공감 회피

2. “난 잘 모르겠는데”

감정 회피형 말투 핵심 심리: 감정 접근 회피, 공감 회피

 

공감 능력이 낮은 사람은 타인의 감정에 대해 불편함을 느끼고,그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해 감정을 모른 척하거나 외면합니다.


“난 잘 모르겠는데”라는 말은 대화를 단절시키는 회피적 수단입니다.

상황 예시

A: “그 말에 상처받았어.”
B: “난 잘 모르겠는데, 왜 그렇게 받아들여?”

▶ 이는 감정의 정당성을 인정하지 않고,
오히려 상대가 과민한 것처럼 몰아가는 효과를 냅니다.


3. “다 그렇게 살아”

감정 무력화형 말투 핵심 심리: 정서 일반화, 감정 축소

 

이 말은 상대가 느끼는 고유한 고통을 ‘보편적인 고통’으로 바꿔버립니다.

결과적으로 감정의 특별함과 중요성을 지워버립니다.

상황 예시

A: “요즘 너무 외로워서 잠도 못 자.”
B: “다 외로워. 다 그렇게 살아.”

▶ 위로처럼 보일 수 있지만, 실제로는 공감을 차단하는 회피성 표현입니다.
상대는 “내 고통은 별 게 아니구나”라고 느끼고 더 외롭게 남게 됩니다.


경쟁형 말투,비교,자기중심성,감정 평가,정서적 연결

4. “내가 그랬다면 더 잘했을걸?”

비교/경쟁형 말투 핵심 심리: 자기중심성, 감정 평가

 

공감 대신 자기 경험을 우위에 두고 평가하려는 말버릇입니다.


공감은 ‘나도 그런 적 있어’에서 멈춰야 하지만,이 말은 ‘나는 너보다 잘해’로 이어지기 때문에 정서적 연결이 끊깁니다.

상황 예시

A: “발표 망쳤어. 너무 창피했어.”
B: “나였으면 훨씬 더 준비 잘했을걸?”

▶ 이런 말은 감정을 공유하는 게 아니라, 자기 우월감을 드러내며 비교의식만 자극합니다.

 

상대방은 감정보다 평가받고 있다는 불편감을 느낍니다.


5. “그거 별일 아니야”

감정 무시형 말투 핵심 심리: 감정 경시, 감정의 일방적 재단

 

이 말은 상대가 느끼는 감정의 크기나 의미를 스스로 판단해버리는 태도입니다.


공감은 ‘너에겐 큰일이구나’라고 받아들이는 과정인데,이 말은 정반대로 감정을 부정합니다.

상황 예시

A: “친구가 내 말 끊고 무시하는데 기분 나빠.”
B: “그거 별일 아니야. 그냥 넘겨.”

▶ 이 말은 단순 조언처럼 보이지만, 감정을 존중하지 않는 태도로 인해 정서적 신뢰가 깨질 수 있습니다.


갈등 대화,전환,방해,방어적 반응,주도권,왜곡

6. “말을 왜 그렇게 해?”

감정 전복형 말투 핵심 심리: 감정 흐름 방해, 방어적 반응

 

상대가 자신의 감정을 솔직하게 표현했을 때,내용보다 표현 방식이나 어조를 문제 삼는 태도입니다.


이런 말은 감정을 주제로 한 대화를 갈등 대화로 전환시킵니다.

상황 예시

A: “너 때문에 진짜 서운했어.”
B: “그 말을 왜 그렇게 해? 내가 뭘 그렇게 잘못했는데?”

▶ 이런 반응은 상대의 감정을 왜곡하고 방어적으로 받아들이는 패턴으로, 감정에 공감하기보다 상황의 주도권을 빼앗으려는 심리가 작동합니다.


요약  : 공감 부족한 말투 유형 정리

유형 대표 말버릇 심리학적 해석
단절형 “그건 네 문제잖아” 감정 분리, 거리두기
회피형 “난 잘 모르겠는데” 감정 회피, 회피 성향
무력화형 “다 그렇게 살아” 보편화로 감정 축소
비교형 “내가 더 잘했을걸” 자기중심성, 경쟁적 반응
무시형 “그거 별일 아니야” 감정 경시, 감정 부정
전복형 “말을 왜 그렇게 해?” 감정 공격, 책임 전가

공감은 특별한 기술이 아닙니다.


타인의 감정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고, “그럴 수도 있겠다”는 한 마디로도 시작될 수 있는 정서적 연결의 힘입니다.

 

반대로 공감이 부족한 사람은 자신도 모르게 말투 속에 무심함, 방어, 평가, 비교를 담습니다.

 

그 말 한마디는 누군가의 감정을 무너뜨리고,관계를 서서히 소모시키는 정서적 단절의 도구가 될 수 있습니다.


당신의 말투는 지금, 어떤 마음을 전하고 있나요?

혹시 무심코 내뱉은 말 한마디가 누군가에게는 상처로 남아 있지는 않았는지, 혹은 내 감정을 표현하려 할 때

상대의 말투가 당신의 마음을 가로막지는 않았는지 오늘, 조용히 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면 좋겠습니다.

 

공감은 마음에서 시작되지만, 말투를 통해 전달됩니다.

말의 온도를 바꾸면, 관계의 온도도 바뀔 수 있습니다.

 

2025.03.27 - [심리학] - 불안한 사람은 꼭 하는 말 7가지

 

불안한 사람은 꼭 하는 말 7가지

“내가 너무 예민한 걸까?” “괜찮아요, 진짜 괜찮아요...”이런 말을 자주 한다면, 당신 안의 불안 심리가 언어로 드러나고 있는 것일지도 모릅니다.우리는 말투나 표현을 통해 무의식적인 심

psychology-mone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