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학습동기3 기대가치 이론(Expectancy-Value Theory) : 행동의 동기를 수치로 설명하는 법 왜 우리는 어떤 일에는 열정을 불태우고, 또 어떤 일은 미루기만 할까요?심리학에서는 이러한 '행동의 동기'를 설명하기 위해 다양한 이론들이 존재하지만, 그중에서도 특히 현실적인 해석을 제공하는 것이 바로 기대가치 이론(Expectancy-Value Theory)입니다.기대가치 이론은 우리가 어떤 행동을 할지 말지를 결정할 때 두 가지 요소를 고려한다고 말합니다. “그 일을 성공할 수 있을까?”(기대, Expectancy) 그리고 “그 일을 성공했을 때 얻는 보상은 얼마나 가치 있을까?”(가치, Value)입니다.이 간단하지만 강력한 프레임은 학습, 진로선택, 자기계발, 심지어 소비 행동까지 폭넓게 적용됩니다. 이번 글에서는 기대가치 이론이 무엇인지, 어떤 방식으로 행동을 예측하고 설명하는지, 그리고 실제.. 2025. 9. 7. 부모의 말 한마디가 아이의 미래를 결정짓는다 - 자기이행적 예언과 교육심리 “넌 원래 그 과목 잘 못하잖아.”“우리 애는 좀 산만해서 집중력이 약해요.”“형은 똑부러졌는데, 넌 왜 이렇게 느릴까?” 이처럼 부모나 교사가 무심코 던진 말 한마디가 아이의 자존감에 깊은 흔적을 남기고, 때론 아이 스스로의 가능성을 제한해버릴 수도 있다는 사실, 얼마나 자주 생각해보셨나요?아이는 어른보다 훨씬 더 민감한 안테나를 가지고 있습니다.자신에 대한 말, 평가, 기대를 고스란히 받아들이고 그것을 자신의 ‘정체성’으로 내면화해 갑니다. 심리학에서는 이런 현상을 ‘자기이행적 예언(Self-fulfilling Prophecy)’이라고 부릅니다.즉, 어떤 믿음이나 기대가 지속되면, 그 기대에 맞게 실제 행동이 변화하고 결국 현실이 된다는 이론입니다. 이 글에서는 부모와 교사의 말이 아이의 뇌와 정체성.. 2025. 6. 5. 왜 우리 아이는 공부를 싫어할까? 부모가 놓치는 심리 동기 3가지 “하라는 공부는 안 하고 딴짓만 해요.”“학원 갔다 오면 더 지쳐 보여요.”“스스로 공부하는 모습은 정말 보기 힘듭니다.” 많은 부모가 이런 고민을 하지만, 아이는 ‘공부’ 자체를 싫어하는 것이 아닐 수도 있습니다.동기가 작동하지 않는 상태일 가능성이 더 큽니다.공부를 ‘싫어하는’ 게 아니라, 공부할 이유를 ‘못 찾는’ 것부모는 종종 이렇게 말합니다: “너는 왜 이렇게 공부하기 싫어하니?”하지만 심리학적으로는 이렇게 묻는 것이 더 정확합니다:“공부할 동기를 아직 못 느끼는 건 아닐까?” 아이가 자발적으로 공부하지 않는 이유는, 게으름이나 의지 부족보다 심리적 동기 시스템이 작동하지 않는 상태일 수 있습니다.이 글에서는 부모가 흔히 놓치는 학습 동기의 핵심 심리 요소 3가지를 소개합니다.🗂 목차1. 학습.. 2025. 4. 27. 이전 1 다음 반응형